프로젝트 수행 일지
9월 6일
프로젝트 주제 선정 동기 및 근거
프로젝트 주제 | [음성인식] 발음 연습을 위한 웹 어플리케이션 |
주제 선정 동기 및 근거 자료 | - 주제 선정 동기 1. 발달 장애 아동의 수 증가함에 따라 언어 재활 시스템의 보급이 필요 2. 후천적 언어 장애를 겪는 경우 언어 능력을 회복하기 위한 골든 타임은 3~6개월인데,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, 자가적인 훈련이 필요 3. 아나운서, 나레이터, 성우 등 정확한 발음과 뚜렷한 의사 전달이 중요한 직군에 속한 사람들이 전문기관이나 학원의 도움을 받지않고 자가 훈련 보조 프로그램 보급을 위함 4. 의사 전달이 어려운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를 예방하기 위함 - 말하기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 1. 가족, 지인과 대화할 때 원활한 의사 소통을 위하여 2. 사회 생활 속에서 뚜렷한 의사 전달은 직장 내 괴롭힘을 방지할 수 있고, 능력 어필의 기회가 될 수 있음 3. 범죄 상황에서 구조요청 등 호신 수단의 역할 언어 장애에 관련된 기사 (알츠하이머 치료제인 젬백스 GV1001이 언어장애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기사) http://www.bosa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201753 (신한은행 청각, 언어 장애인을 위한 수어 상담 시스템 시행) http://www.chemicalnew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5982 (뇌졸중의 후유증 언어장애,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경험, 재활의 중요성) https://www.koreahealthlog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0281 (지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 피해 사례) http://m.kwangju.co.kr/article.php?aid=1681646100751200006 말하기 능력에 관련된 기사 (말하기 능력은 돈과 기회로 연결된다는 기사) https://www.lecturer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87129 ('회사어'에 관련된 기사) https://www.asiae.co.kr/article/2023071414115306746 (소통의 시대, 말을 잘하는 방법?) https://www.lecturer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01398 |
기존 해결 사례 | 바름(앱 어플리케이션) : 텍스트와 텍스트의 올바른 발음을 함께 출력 후 출력된 텍스트를 발음하면 나의 발음을 보여주고 어느 부분이 틀렸는지 보여줌 자음, 모음, 받침별로 발음을 분석하여 교정 방향(전체 음소별 발음 정확도 체크)을 알려주고 나의 발음점수 추이를 확인할 수 있음 |
해결방안 | 1. 텍스트를 단계별로 선택가능하도록하여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학습 가능하도록 한다. 2. 듣기 버튼을 추가하여 주어진 텍스트의 정확한 발음을 들어보고 따라할 수 있도록 한다. 3. 원문 텍스트와 음성으로 입력된 텍스트를 비교하여 일치도롤 %로 보여주고, 랭킹 시스템에 등재한다. |
프로젝트 주제 | [영상처리] 독거노인의 활동분석을 위한 웹 어플리케이션 |
주제 선정 동기 및 근거 자료 | - 주제 선정 동기 1.독거노인의 증가 및 고독사 문제 2. 돌봄노동자의 노동 부담 경감 - 국가통계포털 - 보도자료 (2022. 12) https://www.mohw.go.kr/react/al/sal0301vw.jsp?PAR_MENU_ID=04&MENU_ID=0403&page=1&CONT_SEQ=374084 ▶ 일자리를 잃고 가족, 이웃과의 단절, 경제적 이유 (사회적 고립도 증가) ▶ 고독사 중 자살비중 > 16.5~19.5% (청년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임) ▶ 50대 이상은 질병이 직접적인 원인인 경우가 80% 이상 ▶ 노인 자살 비율도 증가 -> 고독감, 소외감이 원인 - Medical News - 학술자료 (2019. 12) http://www.mdon.co.kr/news/article.html?no=24946 (노인 우울증, 객관적 분석 알고리즘 개발) "독거노인의 경우 2,416명 중 730명(30.2%)이 우울하다고 답했다. 노인부부 4,908명 중 804명(16.4%)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. 독거노인의 경우 부부노인에 비해 정신건강적 측면이 취약하여 우울증 유병률이 더 높다." ▶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증 정도를 평가. 우울군에 속한 대상자들은 우울군에 속하지 않은 대상자들에 비해 활동 수치가 현저하게 낮다 - 약업신문 (2021. 03) http://m.yakup.com/pharmplus/index.html?nid=3000132547%20Kanye%20West,%20%3Ca%20href= ※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입장+ 노인맞춤돌봄서비스 ▶ 대표업무: 65세 이상 독거노인 고독사 예방을 위해 주 1회이상 직접 방문하고 주 2회이상 유선으로 확인, 지원물품 전달, 혼자서도 살아갈 수 있는 교육과 지도 한겨레 : “요양보호사 1명당 어르신 13명”…사고가 일상인 돌봄 현장 (요양시설) https://www.hani.co.kr/arti/society/rights/1087436.html |
기존 해결 사례 | https://m.ecomedia.co.kr/news/newsview.php?ncode=1065588815106969 ▶수원 AI 로봇을 이용하여 독거노인을 돌본다 (AI 케어로봇 시니어)(음성, 영상) 등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5081642288612 ▶IoT 안심폰을 이용한 어르신 돌봄 https://m.khan.co.kr/national/health-welfare/article/201612182051005#c2b ▶에너지미터 http://www.emozak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6029 ▶ 스마트플러그 모니터링 사용 전기기기에 플러그 방식으로 설치, LTE를 통한 전력량, 조도 측정 서울시, 스마트플러그 365일 24시간 모니터링으로 고독사 위험 낮춘다 ▶ IoT 동작감지센서 서울시 데이터로 풀어보는 홀몸어르신의 댁내 활동량 변화 IoT 센서를 활용 홀몸어르신 댁내 침실, 화장실, 주방 등에 설치된 동작감지센서 정보를 통해 활동량 체크 |
해결방안 | 1. ① 미리 설정한 시간에는 비상 연락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다. 1. ② 활동을 탐지해서 평균 시간대를 저장한다. 해당 시간대에 활동이 탐지되지 않으면 비상연락 시스템이 작동한다. 2 . 선알람 후조치 |
프로젝트 주제 | [자연어 처리] SNS 게시물 작성자의 감정 분석을 위한 웹 어플리케이션 |
주제 선정 동기 및 근거 자료 | - 주제 선정 동기 청년들의 우울증, 자살률 증가 sns의 게시물을 바탕으로 긍정과 부정을 판단할 수 있는 자연어 처리기술을 통해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. 뉴스 https://www.ai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36118 (SNS 게시물 분석하는 AI, 당신의 감정도 알아챈다) 뉴스 https://zdnet.co.kr/view/?no=20220304144005 ( AI가 SNS 게시물 보고 정신질환 찾아낸다) 논문 : 딥러닝을 이용한 SNS 분석기반 개인 관심사 추출 = Extraction of individual interests based on SNS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https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e57f4793e20784dbffe0bdc3ef48d419&outLink=K 블로그글 : https://netk.tistory.com/92 (ai 빅데이터,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소비자 감성분석 (원리) 인터뷰https://dbr.donga.com/article/view/1101/article_no/8893/ac/special (감성분석뜬다는데 해볼까 는 위험 어떤 문제에 왜 필요한지 정의 먼저) (원리) |
기존 해결 사례 | -감정분석 활용 현존 프로그램 네이버 CLOVA Sentiment (인공지능(AI) 언어모델'BERT(버트)' 사용) https://www.ncloud.com/product/aiService/clovaSentiment (사이트) BERT를 활용한 문장 감성 분석 연구 (논문) https://manuscriptlink-society-file.s3-ap-northeast-1.amazonaws.com/kips/conference/2020fall/presentation/KIPS_C2020B0186.pdf sns청년들의 자살사례 관련된 해결방안 수집된기사및 연구자료 https://www.bokjitimes.com/news/ar ticleView.html?idxno=21960 (청소년 자살'자해 문제 해결방안 찾는다) https://repository.nypi.re.kr/handle/2022.oak/3217 (청소년 사이버불링 실대및 대응방안 연구) 해결방안 감정 분석 및 자동 필터링 :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익명 커뮤니티에서 자살 관련 텍스트를 식별하고, 해당 게시물을 자동으로 필터링함. 익명 신고 시스템 : 사용자들은 익명으로 자살 관련 콘텐츠를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여, 문제 게시물을 빠르게 식별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함. 정보와 도움말 제공 : 자살 관련 게시물을 신고한 사용자에게는 자살 예방에 대한 정보와 도움말을 제공하여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함. |
해결방안 | 자살 관련 키워드 검색에서 검색허용이 불가하게 처리 (자동 필터링 처리) 자살 관련 게시물은 사전에 신고 및 자살 방지에 대한 예방 정보제공 자살키워드에서 익명으로 자살을 유도 하는 사람을 식별하고 제거함 -위의 기능 추가해서 sns이용자의 글을 분석해서 우울증 등의 문제들을 미리 알고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어 미리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. |
'기획 > 1차 AI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차 AI프로젝트 주제 확정 (0) | 2023.09.12 |
---|---|
1차 AI프로젝트 주제 선정 (0) | 2023.09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