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부/Git

vsCode로 Git push, merge, pull 하기

by 줘요 2023. 10. 27.

main 브랜치는 되도록이면 건들지 않고 작업할 브랜치를 만들어서 사용해야 함

 

 

git push 하기

 

생성한 test branch에서 test.html 생성

 

<순서대로 입력>

git add .

git commit -m "[커밋 메시지]” ← 여기선 html upload

git push origin [브랜치 이름] ← 여기선 test

 

test branch에 test.html 올라간 것을 볼 수 있음

 

git merge 하기

 

git checkout main으로 브랜치 이동 test.html은 없는 것을 볼 수 있다.

 

git merge origin/[브랜치 이름] - test 브랜치에 추가한 test.html 생성된 모습

 

<순서대로 입력>

git add .

git commit -m "[커밋 메시지]” ← 여기선 main html upload

git push origin [브랜치 이름] ← 여기선 main

 

main 브랜치에 추가된 모습을 볼 수 있다.

 

git pull 하기

 

git checkout -b [브랜치 이름] ← 여기선 test2

 

git pull origin main - 브랜치를 변경했지만 파일이 있는 상태여서 이미 업데이트된 상태라고 나옴

 

(아마 브랜치가 없는 상태에서 새로 생성하면 내용이 바뀌지 않는 듯하다.)

 

test2.html 생성 후

<순서대로 입력>

git add .

git commit -m "[커밋 메시지]” ← 여기선 test2.html upload

git push origin [브랜치 이름] ← 여기선 test2

 

test2 브랜치 생성된 모습

 

이거를 다시 메인으로 넘어가 test2 브랜치를 merge 해준다.

 

다시 main으로 push

 

이제 test 브랜치에서 git pull origin main

'공부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it branch 전략  (0) 2023.10.27
Git 명령어 정리  (1) 2023.10.27
vsCode로 Git repository 및 branch 생성  (0) 2023.10.27

댓글